24절기 이야기를 공유해주세요

입춘 立春 (양력 2월4일경)
풍속 봄과 한 해 농사가 시작되는 것을 알리는 입춘 날에는 보리뿌리를 캐어 농사가 잘될지 점쳤어요. 보리뿌리가 세 가닥이 넘으면 풍년, 두 가닥이면 평년, 한 가닥이면 흉년이 든다고 믿었다.함남 북청에서는 이날 무를 먹으면 늙지 않는다고 하여 무를 먹고, 잡곡밥은 먹지 않고 흰쌀밥을 먹으며, 이날은 나이 먹는 날이라 해서 명태순대를 해 먹는다.
속담 '2월에 물독 터진다','입춘 추위는 꿔다 해도 한다.','입춘 거꾸로 붙였나'
입춘 봄이왔네

우수 雨水 (양력 2월19일경)
풍속- 옛날에는 우수에 논이나 밭을 태우곤 했다. 농사일을 시작하기에 앞서 해충을 태워 땅을 다지고, 타고 남은 재는 거름으로도 사용할 수 있었다.
속담- 우수는 눈이 녹아서 비가 된다는 뜻이다. 우수 태우네

경칩 驚蟄 (양력 3월6일경)
풍속- 경칩에 좋아하는 사람에게 은행나무 씨앗을 선물하면 사랑이 이루어진다고 믿었대요. 씨앗을 선물로 주고받은 후 날이 어두워 지면, 은행을 나누어 먹고 수나무 암나무를 돌며 놀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있어요.그래서 경칩은 우리나라 토종 '연인의 날'로 여겨져요.
우리 조상들은 경칩이 되면 담이나 벽에 흙을 바라는 흙일을 하곤 햇어요. 그러면 나쁜일도 없고, 아프지 않을 거라고 믿었다고하네요.
속담- '경칩이 지난 게로군'
연인의날 경칩 연인의날

춘분 春分 (양력 3월21일경)
춘분에는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요.
풍속- 냉장고가 없는 옛날에는 얼음이 굉장히 귀했어요. 그래서 추위를 다스리는 북방신인 사한에게 얼음이 잘 얼 수 있또록 겨울의 날씨를 춥게 해 달라고 기원했어요. 이를 '사한제' 라고 해요. 음력 12월에 얼음을 빙고에 넣을 때와 춘분 무렵에 빙고에서 얼음을 꺼낼때 사한제를 지냈다고합니다.
사한제 춘분 사한제를지내요

청명 淸明 (양력 4월5일경)
청명이란 하늘이 차츰 맑아진다는 뜻
풍속- 아무것도 가릴 것이 없이 좋은날을 '손 없는 날'이라고 해요. 사람들은 이런날을 골라 중요한 일을 하곤했는데 청명은 손이 없는 날이라서 산소를 돌보거나 집수리를 했다고 합니다. 쳥명에 담근 술을 '청명주'라고 하는데 옛 문헌에 따르면 청명주는빛깔이 매우 깨끗하고, 맛이 감미롭고 부드러운것이 특징이라고 합니다. 청명에는 날씨가 좋아서 나무를 많이 심었다고합니다. 옛날에는 어릴 때 오동나무와 같은 나무를 심어 '내 나무'라고 하여 특별히 아껴주었다고 해요. 나중에 아이가 성인이 되어 혼인을 할때 내 나무로 장롱을 만들기도 했다고합니다.
속담- '청명에는 부지깽이를 땅에 꽃아도 싹이난다.'
나무를 심는 청명 청명주를 마셔요

곡우 穀雨 (양력 4월20일경)
봄비가 내려 곡식들을 기름지게 한다는 곡우
풍속- 곡우 즈음에 본격적인 농사 준비가 시작 된다. 못자리에 쓸 볍씨의 불순물을 걸러 내고 싹이 잘 나오도록 물이나 소금물에 담그는 '볍씨 담그기'는 아주 중용한 일이었다고합니다. 이 볍씨는 매우 귀해서 아무나 보지도 만지지도 못하게 했대요.심지어 초상집에 다녀온 사람은 절대로 볍씨 근처에도 가지 못했답니다.
속담- '곡우에 비가 오면 풍년이 든다.'
비가오는 곡우 곡우에 비가 오면 풍년이 든데요~!

입하 立夏 (양력 5월6일경)
푸른빛 가득, 여름의 시작
풍속- 이팝나무에 하얀 꽃이 탐스럽게 피어요. 입하 즈음에 꽃이 피어 '입하목'이라 부르기도합니다. 옜날에는 이팝나무 꽃이 활짝 피면 풍년이 들어 흰쌀밥(이밥)을 배불리 먹을 수 있다고 생각했답니다.
속담-'입하 바람에 씨나락 몰린다.'
입하

소만 小滿 (양력 5월21일경)
소만은 햇볕이 풍부하고 만물이 점차 생장하여 가득 찬다[滿]는 의미가 있다.
풍속- 이즈음에 어딜 가나 봉숭아꽃이 많이 펴요 봉숭아꽃과 잎사귀를 따다 손톱에 물을 들여 첫눈이 올때까지 손톱에 꽃물이 남아 있으면 첫사랑이 이루어진다고 믿었어요.
속담-'소만 바람에 설늙은이 얼어 죽는다'
봉숭아꽃잎물 들이는소만

망종 芒種 (양력 6월6일경)
망종이란 벼와 같은 곡식의 종자를 뿌리기에 적당한 시기로, 모내기와 보리베기를 하는때에요
풍속- 망종이 되면 설익은 풋보리를 베어다가 불에 구워먹어요. 불에 그을린 보리그스름을 먹으면 다음 해 보리 농사가 잘 되고, 밤이슬을 맞은 보리를 먹으면 아픈 허리가 낫는다고 생각했어요.
속담-'발등에 오줌 싼다' 모내기하는 망종

하지 夏至 (양력 6월21일경)
일 년 중 해가 가장 높게뜨고 낮이 긴 때
풍속- 하지 무렵 비가 오지 않으면 비가 내리기를 기원하는 기우제를 지내곤했답니다. 왕이 직접 제사를 지냈는데 보통 사람들은 대문에 물병을 거꾸로 매달거나 강물을 담은 키를 머리에 이고 다니며 비가 오기를 기원했대요. 신성한 지역에 제물로 바친 동물의 피를 뿌려 더럽혀 놓으면 그것을 씻기 위해 비를 내린다는 생각으로, 개나 소 등을 잡아 그 피를 바위나 산봉우리 등에 뿌려 놓는 풍습이 있었다.
속담-'하지가 지나면 발을 물꼬에 담그고 산다' 하지

소서 小暑 (양력 7월7일경)
소서는 '작은더위'라 불리며 본격적인 여름철 더위가 시작되는 시기
풍속- 옛날에는 삼복이 되면 시원한 계곡이나 개울에 발을 담그며 몸에 좋은 음식을 먹는 풍습인 '복달임'을 하며 더위를 이겨 내곤 했다고합니다.
속담- 냇가에 더위를 식히는 소서

대서 大暑 (양력 7월23일경)
대서는 더위기 가장 심한 시기
풍속- 무더위에도 농촌은 쉴 틈이 없어요. 농작물이 열매 맺는 데 방해가 되는 잡초를 뽑는 김매기도 하고, 농작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거름도 만듭니다.
속담-'염소 뿔도 녹는다' 바쁜농촌 대서

입추 立秋 (양력 8월8일경)
바쁜 농사일이 끝나고 조금 한가해진 시기라 어정대며 지낸다 해서 '어정 7월', 시원한 곳과 그늘을 찾아 건들거리며 지낸다고 해서 '건들 8월'이라는 말이 전해집니다.
풍속- 고려시대.조선시대에는 입추가 지나서도 비가 계속 오면 비를 멈추어 달라고 제사를 지냈어요. 입추에는 벼가 햇볕을 받아 여물어야 하는데, 비가 많이 오면 벼가 상해 흉년이 들 수 있기때문이에요.
속담-'입추 때는 벼 자라는 소리에 개가 짖는다.' 가을길목 입추

처서 處暑 (양력 8월23일경)
더위가 그친다뜻의 처서
풍속- '처서에는 비가 오면 독안에 든 쌀이 줄어든다'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옛사람들은 처서에 비가 오지 않기를 바랐답니다. 조선시대에는 처서가 되면 '포쇄별감'이라는 벼슬아치를 사고로 보내 <조선왕조실록>을 바람과 햇볕에 말리도록 했는데, 이를 '포쇄'라고 한답니다.
속담-'모기가 처서가 지나면 입이 삐뚤어진다.' 처서

백로 白露 (양력 9월8일경)
풀잎에 하얀 이슬이 맻힌다는 백로
풍속- 백로 즈음 바쁜 여름 농사일을 마치고 추수하기 전이라 한숨 돌릴 틈이 있는 시기였어요. 이때 시집간 딸들은 하루정도 친정에 다녀올 수 있었는데, 이를 '근친'이라고 해요. 옛날에는 여자들은 결혼을 하면 부모님을 마음대로 찾아가기가 쉽지 않았어요. 백로부터 추석까지를 '포도순절'이라 할 만큼 포도가 제철이지요. 포도를 한알 까서 자식들 입 속에 쏙 넣어주는 어머니의 사랑을 '포도지정'이라고 부르기도해요.
속담- 가을기운 완연한 백로

추분 秋分 (양력 9월23일경)
낮보다 밤이 더 길어지기 시작하는 시기
풍속- 밤하늘에서 두 번째로 밝은 별은 카노프스로, '노인성'이라고도 불러요. 왜냐하면 이 별은 긴간의 수명을 관장하기 때문에 보면 오래 살수 있고, 좋은일이 생긴다고 믿었다고하네요.추분에 부는 바람을 보고 이듬해 농사를 점치는 풍속이 있다. 이날 건조한 바람이 불면 다음해 대풍이 든다고 믿었다.
속담- 추분

한로 寒露 (양력 10월8일경)
한로는 '찬 이슬'이라는 뜻으로 공기가 점점 추워져 찬 이슬이 서리로 변하기 직전의 시기
풍속- 미꾸라지는 가을이면 누렇게 살찌는 고기여서 '추어'라 불리게 됐다고하네요. 이 무렵 맛이 좋아 추어탕을 즐겨먹는다고합니다.
속담-'한로가 지나면 제비도 강남으로 간다' 추어탕먹는 한로

상강 霜降 (양력 10월23일경)
말 그대로 서리가 내리는 시기를 뜻하는 절기.
풍속- '둑제',군대가 출정할 때 전쟁에서 승리르 거두고 무사히 돌아오기를 바라며 지낸 제사를 말해요. 둑은 고려와 조선시대때 군대의 행렬 앞에 세우던 깃발로, 검은 소의 꼬리로 만들었다고 해요.
속담-'한로가 지나면 제비도 강남으로 간다' 서리내리는 상강

입동 立冬 (양력 11월7일경)
풍속- 입동에는 같은 마을에 사는 나이 많은 어른들에게 선물을 하거나 맛있는 음식을 대접하는 '치계미'라는 풍습이 있었다고합니다. 입동이 되면 그해 겨울 날씨를 점쳤다고 합니다. 옛날 사람들은 입동에 날씨가 추우면 그해 겨울도 무척 추울 것이고, 따뜻하면 겨울도 따뜻할거라 믿었대요. 입동을 즈음하여 점치는 풍속이 여러 지역에 전해오는데 이를 ‘입동보기’라고 한다.
속담-'입동 전 보리씨에 흙먼지만 날려주소' 김장시작하는 입동

소설 小雪 (양력 11월22일경)
첫눈이 내린다는 소설
풍속- 매해 소설 무렵이면 날씨가 춥고 바람이 매섭게 부는데 이를 '손도바람','손돌취위'라고 했다고합니다. 뱃사람들은 이 바람 때문에 뱃길을 금하기도 했다고합니다.
속담-'초순의 홑바지가 하순의 솜바지로 바뀐다' 첫눈오는 소설

대설 大雪 (양력 12월7일경)
눈이 많이 내린다는 대설
풍속- 대설에 눈이 많이 내리면 다음 해 봄이 따뜻하고 풍년이 든다는 이야기가 있다.
속담-'눈은 보리의 이불이다' 대설

동지 冬至 (양력 12월22일경)
동지는 일년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풍속- 동지는 '작은설'로 여겨져 팥죽에 새알심을 나이 수만큼 넣어 먹었다고합니다. 옛날에는 새 버선을 신고 동짓날 차츰 길어지는 그림자를 밟으면 수명도 길어져 오래살 수 있다고 믿었다고합니다. 이러한 소망을 담아 며느리가 시어머니와 시누이에게 버선이나 신발을 선물 했대요. 이를 동지헌말(冬至獻襪) 이라한다.
속담-'눈은 보리의 이불이다' 팥죽먹는 동지

소한 小寒 (양력 1월6일경)
'작은추위'라는 소한
풍속- 소한은 작은 추위이라는 뜻과는 달리 실제로는 일 년중 가장 추운날
속담-'소한 추위는 꾸어다가라도 한다.' 추운 소한

대한 大寒(양력 1월21일경)
'큰추위'라는 대한
풍속- 겨울을 마무리 짓는 대한은 계절적으로 마지막 날이라는 의미가 있다. 그래서 대한 날 밤에는 마루나 방에 콩을 뿌려 귀신을 쫒고 새해를 맞이하는 해넘이를 했다. 제주도에서는 '신구간'이라하여 대한 후 5일에서 입춘 전 3일 사이에 집을 고치거나 집안일을 손질하고 이사하는 일 을 한다.
속담-'대한 끝에 양춘이 있다.' 대한